임신 중기는 위험한 출혈이 비교적 적은 시기입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혹시 모를 출혈을 걱정하는 임산부들이 적지 않습니다.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출혈
임신 15주경의 출혈이라면 임신 초기에 많이 볼 수 있는 융모막혈종의 가능성도 또, 자궁경부 곤지름이나 자궁경부 폴립에서 나오는 일시적인 출혈이나, 자위나 성관계가 자극이 되어 출혈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러한 출혈은 거의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출혈
- 융모막혈종
자궁을 감싸는 융모막 바깥쪽에 혈액이 쌓여 있는 상태. 혈종이 몸 밖으로 흘러나오게 되면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드물게 혈종이 커져 유산이나 조산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 자궁경부 폴립
염증 등이 원인이 되어 자궁경부에 생긴 양성 용종. 용종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출혈은 일시적입니다. 임신 경과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습니다.
- 자궁경부 곤지름
자궁 입구의 점막이 호르몬의 영향으로 질쪽으로 젖혀져 있는 상태. 점막의 부드러운 부분이므로 자위나 성행위으로 인한 약간의 자극으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접촉 출혈
자위나 성행위 자극으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궁경부 용종이나 자궁경부 곤지름이 있으면 출혈이 생기기 쉽습니다.
주의해야 할 출혈
새빨간 선혈의 출혈이 멈추지 않거나 복부팽만이나 통증을 동반하는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는 위험한 징후이므로 즉시 산부인과에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또 검진에서 '자궁경부가 짧다' '전치태반 의심'으로 지적됐다면 유산이나 조산 위험이 높으므로 출혈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위험한 출혈의 원인
- 절박유산
임신 12주 이후의 절박유산 원인은 절박조산과 거의 유사합니다. 분비물의 이상, 복부 팽만이나 통증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 절박조산
많은 원인은 난막이 세균에 감염돼 발병하는 융모막양막염이나 너무 많이 움직일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분비물의 이상, 복부팽만이나 통증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두통, 비만...혹시 다혈증? (0) | 2025.02.15 |
---|---|
영양사가 추천하는 '회춘'하는 2가지 식재료 (0) | 2025.02.13 |
치매예방 보충제 효과 있을까? (0) | 2025.02.11 |
노인에게 비타민D가 필요한 이유 (0) | 2025.02.09 |
초가공식품 섭취시 걸리기 쉬운 질환 3가지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