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혼 여성=픽사베이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진정한 의미에서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변해야 할지 명확한 답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미래의 일본은, 저출산·고령화 뿐만이 아니라, 아이를 낳는 세대의 감소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5년간의 0~4세의 인구증가율은, 도쿄도에서는 치요다구, 미나토구, 츄오구가 신장률이 높고, 상위 10위 이내의 대부분이 도쿄구부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5년 동안 많은 어린이가 도쿄 23구에서 태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도쿄에서 태어나고 자란 여성이 그 연령에 도달했기 때문이 아니라 지방에서 그 세대의 여성이 유입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앞으로 유입되는 여성 자체가 적어지기 때문에 앞으로는 출산율은 계속해서 낮아질 것입니다.

또한 2017년의 특수 출산율은 도쿄가 1.21%로 전국 평균 1.43%에 비해 매우 적으며 육아하기 어려운 도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상황이 계속되면 도쿄도 출산율은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미래의 지도책」에서는 출산기의 여성이 감소하는 지역으로서 도쿄도 도시마구로 꼽았습니다. 도쿄의 중심지에서 기업도 많고, 그 근처에 살고 싶다는 젊은 세대도 많은 도시마구가 왜라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2020년, 20대 여성이 감소하는 지자체의 탑은, 홋카이도 하코다테시와 미야자키현 도성시로, 12.8%나 감소합니다. 놀라운 것은 이에 이은 것이 도쿄도 도시마구와 삿포로시 미나미구라는 대도시권이라는 것입니다. 이전에 이 사실이 신문에 게재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왜 도시마구에서 20대 여성이 사라지는 걸까요? 공교롭게도 도쿄에서도 직장과 주거가 가까운 곳을 찾는 젊은 세대가 늘어났습니다. 미나토구, 지요다구, 주오구의 인구는 증가하고 있는 것은 그것이 이유입니다. 도시마구도 많은 기업이 있고, 대규모 아파트도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육원, 학교 등의 육아 환경 등에서 도시마구에 살고 있는 사람이 다른 구로 이사하기 때문이 아닐지 생각합니다.

현재 도시마구에 살고 있는 사람은 '그런 일은 없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도쿄는 최근에는 젊은 세대가 이주함에 따라 인구가 증가하지만 그렇다고 안심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23구 각각이 살기 좋은 마을로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대책을 생각하고 실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기가 왔습니다.

인구 감소는 지방 도시의 것으로만 생각하고 있으면, 20년 후, 30년 후는 지방 도시와 다르지 않은 상황에 도쿄도 되어 가는 것입니다.

비혼 여성이 늘고 있다

저출산에 더해 최근 문제시되고 있지만 결혼하지 않는 여성이 늘고 있는 것입니다.

출산기의 여성(현재 아이를 낳는 약 80%를 차지하는 25~39세 여성) 비혼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도시권에서는 당연시되어 있습니다.

"현역으로 일하고 있는 시기에는 나만의 수입으로 자유롭게 사용하며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배우자 생기면 그 자유가 없어져 버리는 것이 싫다"라고 하는 여성이 많습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지금부터 라이프 플랜을 그리는 것입니다. 부모의 수입이나 연금이 얼마나 되는지. 부모를 부양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 부모의 수입만으로 부양 비용을 조달할 수 있을까?

또, 자신이 연금을 지급받는 연령이 되었을 때, 어느 정도의 수입을 전망하는지, 퇴직금이나 예·적금 등, 자신의 자산도 어느 정도 예측해 두어야 합니다. 이것은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마찬가지입니다.

만남의 자리를 마련하다

미래를 어떻게 할 것인가는 독신분들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앞으로 어떻게 생활할 것인지, 또 어디에 살 것인지는 생각해 두어야 할 중요한 과제입니다. 고령자가 증가해, 그것을 지원하는 연대가 줄어 갈 것입니다. 이것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해도 좋습니다.

우선 살고 있는 지역 안에 커뮤니티가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우리 손으로 한다. 못하는 사람이 있으면 서로 돕는다" 그런 환경을 지금부터 만들어 놓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민이 뿔뿔이 흩어져 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지자체의 작은 공간에서 사람을 중심으로 한 만남의 장소를 마련해 붐을 만들어 가야 합니다.

그것이 지역의 활력이 되어 풍부하고 안심할 수 있는 주거 환경이 창출된다고 생각합니다. 새로 만드는 것은 자금이나 장소의 선정 등 여러 가지로 수고와 비용이 듭니다. 그러므로 도시 지역의 상점가나 번화가 등 이미 붐비고 있는 장소나 인프라를 활용해 가면 좋을 것입니다.

요컨대 작은 왕국을 만드는 셈입니다. 주민의 수는 그 장소에 따라 관계없습니다. 그 장소에 주민이 모여 사는 것으로 상점이나 의료, 간병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넓은 지역에 뿔뿔이 흩어져 살고 있으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도, 인력도 수송도 필요하게 됩니다. 그러면 일도 산업도 성립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장소에 살면 좋은 것일까요?

언덕길도 맨션도 큰일

최근 눈에 띄는 것은 교외의 큰 쇼핑몰입니다. 지금은 차로 가는 것을 가정해 넓은 주차장이 완비돼 있지만, 미래에는 쇼핑몰을 주거와 일체화해 '왕국'으로 만드는 등 이동 수단이 없이 갈 수 있는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또한 지도에서는 알기 어려운 길도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고령이 되면 언덕길이나 턱이 힘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나가사키시나 오노미치시로 대표 되는 언덕이 많은 도시에 자택이 있는 경우 이동도 힘들어집니다. 실제로 언덕에 살고 있는 분은 언덕 밑으로 내려오도록 합시다.

토지의 기복뿐만 아니라 최근 대도시권으로 늘어난 타워 아파트라고 불리는 고층 아파트도 마찬가지입니다. 그곳의 주민은 20년, 30년 후에는 60대, 70대로 고령이 됩니다.

지금은 편리하게 살고 있더라도 고령이 되었을 때 아파트 30층이나 40층에서 생활을 계속할 수 있을까요?

아무리 엘리베이터가 있어도, 쇼핑이나 통원 등, 1층까지 내려가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것은, 평소의 생활이 복잡해집니다. 맨션을 마지막 주거지로 삼기에는 의문입니다.

나이가 들었을 때, 어디에 살 것인지, 지금 이대로 좋은 것인지, 그것도 라이프 플랜을 그리는 데는 중요합니다. 건강할 때부터 고령자는 모여 살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행정은 마을의 중심을 고령자 주택이나 돌봄 시설로 만들어 고령자가 스스로 외출하고 걸을 수 있도록 모든 일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정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집이 있는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고령자는 아직 많습니다. 한계 취락이라고 불리는 곳에서도 마지막까지 남아 그곳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이라는 것이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어떻게든 생활이 이루어지고 있어도 인구 증가율이 한 자릿수라고 하는 동네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2045년에는 인구가 한 자릿수라는 동네가 전국에서 17개나 존재하고, 50명 이하로는 140개로 지자체의 존속 자체가 위태로운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50명을 밑돌면 상점, 의료, 간병 등 생활에 필요한 것이 그 마을에서 모두 없어져 버립니다. 대중교통도 수지타산이 맞지 않으면 폐지되고 말 것입니다.

20년 후에는 그런 지역이 일본 곳곳에 생겨날 것입니다. 지금이야말로 죽을 때까지 안주할 수 있는 곳은 도대체 어디인가를 잘 생각해 두셔야 합니다.

반응형

'해외반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국민아이돌 "SMAP" 나카이 마사히루 논란  (0) 2025.01.19

+ Recent posts

#tt-body-page blockquote[data-ke-style='style1'] { position: relative; margin: auto; box-sizing: border-box; padding: 34px 0!important; background: none!important; } #tt-body-page blockquote[data-ke-style='style1']:before{ width: 21px; height: 16px; background-position: -159px -367px; top: 0; } #tt-body-page blockquote[data-ke-style='style1']:after{ width: 21px; height: 16px; background-position: -113px -367px; bottom: 0; } #tt-body-page blockquote[data-ke-style='style1']:after, #tt-body-page blockquote[data-ke-style='style1']:before { content: ""; position: absolute; right: 0; left: 0; margin: auto; background-image: url(//editor-static.pstatic.net/v/basic/1.24.0/img/se-sp-viewer.5346d9f1.png);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size: 422px 405px;